All Issue

2025 Vol.24, Issue 1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March 2025. pp. 171-198
Abstract
References
1

2050탄소중립위원회. (2021).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2

구자열, 주희천, 정은호. (2016). 전력소비 변화 요인분석을 통한 국내 제조업의 전력효율성 평가. 에너지경제연구, 15(2), 23-54.

3

김수이, 김현석. (2011). LMDI 방법론을 이용한 국내 제조업의 에너지 소비 요인 분해 분석. 에너지경제연구, 10(1), 49-76.

4

김수이. (2022). 국내 제조업부문에 대한 에너지소비 요인 분해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31(4), 825-848.

5

김수이. (2023). 국내 제조업의 전력 소비 요인분해 분석. 에너지경제연구, 22(1), 73-99.

6

나인강, 이성근. (2008). 산업부분 에너지 효율 변화요인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17(2), 255-286.

7

박년배, 심성희. (2015). 감축목표 업종 분류체계에 따른 산업부문의 에너지 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 요인 분해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24(1), 189-224.

10.15266/KEREA.2015.24.1.189
8

박상현, 이천환, 정민경, 염성찬. (2024). 지역에너지계획 및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을 통한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 현황 진단. 한국기후변화학회, 15(3), 327-341.

10.15531/KSCCR.2024.15.3.327
9

박성준, 김진수. (2014). 우리나라 1차 에너지와 최종 에너지 소비 변화요인 분해 비교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23(2), 305-330.

10.15266/KREEA.2014.23.2.305
10

박정욱, 김수이. (2013). 한국과 일본의 산업부문 에너지 소비에 대한 LMDI 요인분해 분석. 에너지경제연구, 12(1), 67-103.

11

에너지산업과. (2018). 부산광역시 제5차 지역에너지 계획. 부산광역시.

12

오세신, 진태영. (2021). 지역에너지분권을 통한 탄소중립형 집단에너지 발전 방안 연구. (제2021-16호). 에너지경제연구원.

13

유재호, 이승현, 이진영, 전의찬. (2023). 요인분해분석을 이용한 지역별 전력 소비 특성 연구: 광역시를 중심으로. 에너지공학, 32(2), 60-71.

10.5855/ENERGY.2023.32.2.060
14

진상현, 황인창. (2009a). 지수분해분석을 이용한 지자체의 에너지 소비특성에 관한 연구. 자원・환경경제연구, 18(4), 557-586.

15

진상현, 황인창. (2009b). 지자체의 온실가스 배출특성에 관한 지수분해분석: 에너지부문을 중심으로. 환경정책, 17(3), 101-128.

16

진태영. (2024).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 결정요인 분석: 16개 광역지자체 자료를 바탕으로. 자원・환경경제연구, 33(3), 241-261.

17

한국에너지공단. (2023). 2022년도 에너지사용량 통계. 한국에너지공단.

18

한국은행. (2023). 우리나라 주요 제조업 생산 및 공급망 지도. 한국은행.

19

한국환경연구원. (2023). 탄소중립형 메가시티 구축을 통한 국가균형발전 전략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

Akyurek. (2020). LMDI decomposition analysis of energy consumption of Turkish manufacturing industry: 2005-2014. Energy Efficiency, 13(4), 649-663.

10.1007/s12053-020-09846-8
21

Ang, B. W., Liu, F. L. (2001). A new energy decomposition method: perfect in decomposition and consistent in aggregation. Energy, 26(6), 537-548.

10.1016/S0360-5442(01)00022-6
22

Ang, B. W. (2004). Decomposition analysis for policymaking in energy: which is the preferred method?. Energy Policy, 32(9), 1131-1139.

10.1016/S0301-4215(03)00076-4
23

Ang, B. W. (2005). The LMDI approach to decomposition analysis: a practical guide. Energy Policy, 33(7), 867-871.

10.1016/j.enpol.2003.10.010
24

Ang, B. W. (2015). LMDI decomposition approach: A guide for implementation. Energy Policy, 86, 233-238.

10.1016/j.enpol.2015.07.007
25

Dietz, T., Rosa, E. A. (1997). Effects of population and affluence on CO2 emission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94(1), 175-179.

10.1073/pnas.94.1.1758990181PMC19273
26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2020). World Energy Outlook 2020. Paris: IEA.

27

Kaya, Y. (1989). Impact of carbon dioxide emission control on GNP growth: interpretation of proposed scenarios.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response strategies working group.

28

Olanrewaju, O. A. (2018). Energy consumption in South African industry : A decomposition analysis using the LMDI approach. Energy&Environment, 29(2), 232-244.

10.1177/0958305X17745364
Information
  • Publisher :Korea Energy Economic Institute·Korea Resource Economics Association
  • Publisher(Ko) :에너지경제연구원·한국자원경제학회
  • Journal Title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 Journal Title(Ko) :에너지경제연구
  • Volume : 24
  • No :1
  • Pages :171-198
  • Received Date : 2025-02-21
  • Revised Date : 2025-03-14
  • Accepted Date : 2025-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