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ructions for Authors
논문작성기준
제1조(논문작성) ① 논문작성언어는 한국어, 영어에 한한다.
② 원고는 국문을 원칙으로 하고 500단어 내외의 영문초록을 작성한다. 영문의 경우 1,000자 이내의 국문요약을 작성한다.(개정 ’09.06.25)
제2조(논문의 체제) ① 논문은 표지, 본문, 참고문헌 및 초록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② 표지는 국문제목, 저자명, 소속, 목차, 주요단어와 경제학 문헌분류를 포함한 국문요약 등을 포함한다.(개정 ’09.06.25)
③ 저자의 소속과 직위를 이메일 주소와 함께 투고논문의 표지 하단에 표기하고, 저자의 수가 복수인 경우 논문에서 저자의 역할(주저자, 교신저자, 공동저자)을 반드시 구분하여 명기한다.(개정 ’20.02.26)
④ 주요단어(색인어)는 국문요약 하단에 6개 이내로 가나다순으로 작성한다.(영문 주요단어(Keywords)는 영문초록하단에 알파벳순으로 작성).(개정 ’09.06.25)
⑤ 본문은 통상적인 논문의 전개방식대로 작성하며 각주는 반드시 본문 해당면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한다.
⑥ 참고문헌 및 초록부분은 본문 말미에 계속하여 작성하며 참고문헌은 동양서 다음에 서양서를 자모순으로 배열하되 본문에서 인용된 문헌에 한한다. 초록의 경우 국문원고의 경우‘ABSTRACT’로 표제한 다음 영문제목 및 영문저자명을 달고 작성하며 영문원고는 ‘요약’으로 표제한 후 국문제목 및 국문저자명을 달고 작성한다.(개정 ’09.06.25)
제2조의 2(저작권) ① ‘교신저자’라 함은 논문 투고의 전 과정을 책임지는 저자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연구책임자는 교신저자가 될 수 있다. 교신저자는 공동저자의 포함여부 및 저자 순서를 결정한다. 또한 공동저자들에게 최종 논문을 회람하여야 하고, 투고 사실을 알려 확인을 받아야한다. 또한 논문 심사 후 수정을 해야 하는 경우에도 교신저자는 이를 공동저자들에게 알려 승인을 받아야 한다.<신설 ’09.06.25>
② ‘주저자’라 함은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에 해당하는 책임저자를 말한다. 주저자는 교신저자와 동일한 역할을 하며, 논문에 대한 기여도가 동일하여 주저자와 교신저자가 다를 경우 교신저자의 권한은 주저자와 교신저자의 합의에 의하여 결정한다.
③ ‘공동저자’라 함은 연구에 참여한 공동 연구원 및 연구보조원, 연구 수행 중 중요한 연구 정보를 상의하고 결론에 도달하는 데 기여한 자를 말한다. 공동저자의 포함 범위는 연구의 계획, 수행, 결과 분석 및 연구 논문 작성에 현격히 기여한 자로 한한다.
제3조(사용어 및 표기) ① 국문원고의 경우 국문을 원칙으로 하고 필요할 경우 한자 및 외래어는 괄호 안에 표기한다.
② 본문의 번호전개는 다음과 같이 한다.
장 번호: I, 절 번호: 1, 항 번호: 1), 목 번호: (1)
제4조(도표) ① 도표의 순서는 나오는 차례대로 <표 1>, <그림 1>, <Table 1>, <Figure 1> 과 같이 < > 속에 "일련번호" 체제로 표시하며, 모든 제목은 해당 도표 및 그림, 사진의 상단에 "가운데 맞추기"로 표기한다.
② 도표의 글자크기는 최소 6포인트가 되어야 하며 지도에는 반드시 축척과 방위표시가 명기되어야 한다.
③ 인용한 도표는 반드시 출처를 밝히도록 한다.
제5조(각주 및 참고문헌 표시방법) ① 본문 인용 및 참고문헌의 기술방식은 아래 형식을 따른다.(개정 ’10.06.30)
② 인용논문이나 저서는 본문 중에 아래의 각 호와 같이 저자이름과 연도만을 표시한다. 또한 인용문장이나 또는 이해를 돕는 부연 설명이 필요한 경우 각주를 달도록 하고 주기가 필요한 부분의 최종글자 오른편에 일련번호(윗 첨자형태)를 적어 표시한 후 해당 면 하단에 그 내용을 설명한다.(개정 ’10.06.30)
2. 2인: 김철수·홍길동(1998), Kydland and Prescott(1977)
3. 3인 이상: 김철수 외(1996), Krugman et al.(1979)
4. ~로 밝혀졌다(김철수·홍길동, 1998).
5. ~로 밝혀졌다(김철수, 1996 ; 홍길동, 1998).
③ 삭제<’10.06.30>
④ 참고문헌 작성형식은 다음과 같다. [전문개정 ’24.11.25]
가. 김영하. (1996).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문학동네.
나. Hemingway, E. M. (1952). The Old Man and the Sea. Charles Scribner's sons.
2. <단행본(일부)> 저자명. (발행연도). 표제. 편집자(편저), 제목(pp. 인용 면수). 발행처.
가. 김영하. (1996). 마라의 죽음. 김영하(편저),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pp. 1-100). 문학동네.
나. Armstrong, D. (2019). Malory and character. In M. G. Leitch & C. J. Rushton(Eds.), A new companion to Malory(p. 144). Peter Lang Publishing.
3. <번역서>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번역자, 역). 발행처. (원본 발행연도)
가. 미국심리학회. (2015). APA 논문 작성법(강진령, 역). 학지사. (원본 1990)
나. Plato. (1989). Symposium(A. Nehamas & P. Woodruff, Trans.). Hackett Publishing Company. (Origin 2019)
4. <전자책>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판). 발행처. URL(DOI)
가. 김영하. (2010).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문학동네. http://www.yes24.com/Product/Goods/4135522
나. Burns, A. (2018). Milkman. Faber & Faber. https://amzn.to/2ObKrVf
5. <간행물>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간행물명, 권(호), 인용 면수.
가. 홍장원. (2017). 고래생태관광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7(4), 63-63.
나. Peng, G. (2017). Do computer skills affect worker employment? An empirical study from CPS Survey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74(4), 26-34.
6. <학위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논문집 또는 간행물 번호) [학위논문, 대학명]. 수록DB. 혹은 URL(DOI)
가. 최민철. (2017). 생체인증기술을 적용한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DBpia.
나. Angeli, E. L. (2012). Networks of communication in emergency medical services (Publication No. 3544643) [Doctoral dissertation, Purdue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Publishing.
7. <그 외 학술관련>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활동구분]. 게재지(학회명/대회명) 권(호), 인용 면수. (인용 면수 없는 경우, 수록DB. 혹은 URL(DOI))
가. 오동근, 황일원. (2004). 서비스 품질 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LibQUAL+TM을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2004년도 제11회 학술대회 논문집, 152-162.
나. 안남성. (2021). AI 시대의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조강연].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21년 하반기 학술대회. http://www.ksds.net/board05/view.asp?Key=728
8. <보고서, 기타자료>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보고서 번호). 발행처. URL
가. 정부 책임 사무소. (2019). 성과 및 책임 보고서 : 2019 회계 연도. (제1023-30호). 한국정책연구소. https://www.gao.gov/assets/710
나. Volk, J., Lucia, K. (2018). Mental health parity at risk: Deregulating the individual market and the impact on mental health coverage. (Report No. WA_RD 896.4). NAMI Organization. https://www.nami.org/About-NAMI/Publications-Reports/
9. <기사,칼럼> 저자명(무기명인 경우 발행처 입력). (발행일). 제목. 발행처. 인용면수.(온라인 기사의 경우 인용면수 대신 URL)
가. 서진우. (2017.03.02). 목표·혁신·열정의 VIP리더십으로 이끌 것. 매일경제. pp.A32
나. Schwartz, J. (1993.01.01). Obesity affects economics, social status. The Washington Post. https://washingtonpost.com/1321564
10. <영상물> 저자(감독)명. (게시일/연도). 제목 [종류: 영상, 영화, TV프로그램, 드라마 등]. 제작사. URL
가. 봉준호. (감독). (2019). 기생충 [영화]. 바른손이앤에이.
나. Apple. (2020.04.15). The new iPhone SE [Video].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SQIbeAk-bFA
11. <웹페이지> 저자명(무기명인 경우 제목 입력). (게시일). 제목. 사이트명. URL
가. 이정금. (2017.01.03). 나만의 것이 아닌 '우리'의 것. 공유경제. http://hikostat.kr/315
나. MedlinePlus. (2020, 1.14). Flu.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s://medlineplus.gov/flu.html
12. <ChatGPT> 기관명. (연도). 제목(버전)[Large language model]. URL
가. OpenAI. (2024). ChatGPT(3.5version) [Large language model]. https://chat.openai.com